Tivoli Access Manager 보안 로깅

이 주제를 사용하면 추적 명세가 필수 레벨에서 추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태스크 정보

Tivoli® Access Manager를 위한 JACC(Java™ Authorization Contract for Containers) 제공자 메시지는 구성된 추적 출력 위치로 로깅되고 메시지는 표준 출력 SystemOut.log 파일에 기록됩니다. 추적이 사용 가능으로 설정되면 추적과 메시지 둘 모두는 trace.log 파일로 전송됩니다.
[z/OS]참고: 이러한 메시지는 CTRACE에 전송됩니다. CTRACE는 이들을 CTRACE 데이터 세트, 메모리 버퍼 및/또는 리젼의 시작 태스크를 위한 SYSPRINT 데이터 세트에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고: 이 주제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로그 파일을 참조합니다. 권장되는 대안은 분배 및 IBM® i 시스템에서 SystemOut.log, SystemErr.log, trace.logactivity.log 파일을 사용하는 대신 HPEL(High Performance Extensible Logging) 로그를 사용하고 인프라를 추적하도록 서버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원시 z/OS® 로깅 기능과 연계하여 HPEL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HPEL을 사용하는 경우 서버 프로파일 바이너리 디렉토리의 LogViewer 명령행 도구를 사용하여 모든 로그에 액세스하고 정보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HPEL 사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PEL을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문제점 해결 정보를 참조하십시오.

프로시저

  1. amwas.node_server.pdjlog.properties 파일은 업데이트되어야 하고 isLogging 속성은 필수 컴포넌트를 위해 true로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Tivoli Access Manager의 JACC 제공자를 위해 추적을 사용 가능으로 설정하려면 다음 행을 true로 설정하십시오. amwas.node_server.pdjlog.properties:baseGroup.AMWASWebTraceLogger.isLogging=true
  2. 다음 단계를 완료하여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관리 콘솔에서 Tivoli Access Manager의 JACC 제공자 컴포넌트의 추적을 사용 가능으로 설정하십시오.
    1. 문제점 해결 > 로그 및 추적 > server_name을 클릭하십시오.
    2. 로그 및 추적 태스크 아래에서 진단 추적을 클릭하십시오.
    3. 로그 사용 옵션을 선택하십시오.
    4. 적용을 클릭하십시오.
    5. 문제점 해결 > 로그 및 추적 > server_name을 클릭하십시오.
    6. 로그 세부사항 레벨 변경을 클릭하십시오.
    7. 컴포넌트를 클릭하십시오. 모든 컴포넌트의 추적은 com.tivoli.pd.as.*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 가능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컴포넌트의 추적은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 가능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역할 기반 정책 프레임워크 추적의 경우 com.tivoli.pd.as.rbpf.*
      • JACC 제공자 추적의 경우 com.tivoli.pd.as.jacc.*
      • 권한 부여 테이블의 경우 com.tivoli.pd.as.pdwas.*
      • 구성의 경우 com.tivoli.pd.as.cfg.*
      • 캐싱의 경우 com.tivoli.pd.as.cache.*
      자세한 정보는 로그 레벨 설정을 참조하십시오.
    8. 적용을 클릭하십시오.

다음에 수행할 작업

추적 명세는 이제 추적이 필수 레벨에서 사용 가능으로 설정되었음을 나타냅니다. 구성을 저장하고 변경사항을 적용하려면 서버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주제 유형을 표시하는 아이콘 태스크 주제



시간소인 아이콘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last_date
http://www14.software.ibm.com/webapp/wsbroker/redirect?version=cord&product=was-nd-mp&topic=tsec_logging
파일 이름:tsec_logging.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