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보수 모드

유지보수 모드 기능을 사용하면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도 호스트 또는 서버를 오프라인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유지보수 모드는 유지보수 모드인 서버 주변으로 클라이언트 트래픽을 다른 서버로 라우팅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요청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동적 라우팅 및 자동 스케일링 기능과 함께 작동합니다. 호스트나 서버에서 진단 테스트, 유지보수 또는 튜닝을 수행하기 전에 유지보수 모드를 시작하십시오.

서버 유지보수 모드

  • 유지보수 모드의 서버는 자동 스케일된 클러스터의 활성 서버의 계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서버가 유지보수 모드인 경우, 동적 라우팅 기능은 요청을 집합체의 기타 서버로 라우팅합니다.

호스트 유지보수 모드

  • 호스트가 유지보수 모드가 될 때 호스트의 모든 서버는 유지보수 모드를 시작합니다.
  • 호스트가 유지보수 모드에서 나올 때 모든 서버는 유지보수 모드에서 나옵니다.
  • 호스트가 유지보수 모드인 경우에는 해당 호스트를 새 Liberty 인스턴스의 프로비저닝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유지보수 모드인 호스트의 서버는 호스트가 유지보수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유지보수 모드에서 개별적으로 해제될 수 있습니다.

유지보수 모드 collective 명령 옵션

유지보수 모드는 collective 명령을 사용하여 관리자에 의해 제어됩니다. 이 명령은 유지보수 모드를 시작하고 종료하기 위한 구문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습니다.

명령 구문
  • collective enterMaintenanceMode [options]
  • collective exitMaintenanceMode [options]
  • collective getMaintenanceMode [options]

기본 집합체 명령 옵션

--host="제어기 호스트 이름"
필수 – 집합체 제어기가 상주하는 호스트의 이름입니다.
--port="제어기 HTTPS 포트"
필수 – 대상 집합체 제어기의 HTTPS 포트 번호를 지정합니다.
--user="사용자"
필수 – 대상 집합체 제어기의 관리 사용자입니다.
--password="비밀번호"
필수 – 관리자의 비밀번호입니다.

유지보수 모드 특정 옵션

--hostName="대상 호스트 이름"
필수 - 유지보수 모드에 진입하는 호스트의 또는 유지보수 모드에 진입하는 서버가 포함된 호스트의 이름입니다.
--usrDir="Liberty 설치 디렉토리"
서버의 경우 필수 - 호스트에서 Liberty가 설치된 루트 디렉토리입니다.
--server="서버 이름"
서버의 경우 필수 - 유지보수 모드에 진입 중인 서버의 이름입니다.
--break
enterMaintenanceMode에만 적용됩니다.

지정되지 않은 경우, 기본값은 서버에 대한 새 트래픽은 중지하되 유지보수 모드를 시작한 서버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선호도가 있는 트래픽은 허용하는 것입니다. --break가 지정되면 모든 요청이 다른 서버로 라우팅됩니다.

--force
enterMaintenanceMode에만 적용됩니다.

--force가 지정되면, 자동 스케일링 정책이 위반된 경우에도 서버가 유지보수 모드가 됩니다.


주제의 유형을 표시하는 아이콘 개념 주제

파일 이름: cwlp_wve_maintmod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