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기존 데이터를 이주하는 경우, 변환/이주를 수행할 소프트웨어를 디자인해야 합니다. 이주될 데이터는 중간 산출물: 데이터 이주 스펙의 타스크: 데이터 이주 지정으로 식별됩니다.
데이터 이주를 수행할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서브시스템으로 식별되며 소스 데이터 및 대상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는 서브시스템에 종종 종속됩니다.
데이터 이주 서브시스템의 디자인은 타스크: subsystem_design_real-time_design에서 설명하는 디자인과 유사합니다. 데이터 이주에
적용되는 추가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주 스위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 차이에 대한 대처는 데이터 이주 소프트웨어를 디자인할 때(특히 이주될 데이터가 단일 환경 또는 여러 환경에 존재하는 자동 이주의 경우) 중요한 고려사항이며 완전히 다른 환경으로
이주/변환해야 합니다.
다른 하드웨어, 운영 체제 및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는 모두 도전 과제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단순한 변환 프로세스는 환경 변화에 대처할 네 가지 이상의 프로그램 스위트로서 구현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여러 파일을 하나 이상의 파일로 변환해야 하므로 이주 프로세스 실행 시퀀스가 매우 중요하며 변환 시 특정 프로그램에서 이전 프로그램의 데이터가 필요한 상호 종속성이 존재합니다.
컴포넌트 재사용
표준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변환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 또는 재사용할지 여부를 고려해야 합니다. 시스템 유틸리티 프로그램 또는 기존 프로덕션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가능할 때마다 활용함으로써 변환 모듈의 개발 시간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표준 시스템 컴포넌트에 기능을 추가하여 변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변환에 새 시스템으로의 수동 변환 데이터 입력이 포함되는 경우 이 입력은 가능한 경우 새 시스템의 표준
기능을 사용하여 수행해야 합니다. 목표는 작업 중복과, 대체 데이터 입력 방법으로 인한 가능한 불일치를 예방하는 것입니다.
성능
이주에는 결과적인 성능 의미를 나타내는 대용량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이주를 자주 수행하지 않더라도 성능 저하가 관심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히 변환 프로세스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정정
및 재실행이 필요한 경우 성능 저하로 인해 변환된 데이터의 테스트 및 유효성 검증 속도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
운영 프로시저
수동 데이터 유지보수 단계 및 이주 소프트웨어 실행 단계를 모두 포함하여 이주 프로세스에서 수행할 운영 프로시저를 지정해야 합니다. 이주 프로시저의 수명이 제한적인 경우라도 프로시저 수행 단계를 세부적으로
문서화해야 합니다. 올바른 프로시저는 단계 시퀀스, 각 단계의 수행자, 결과 유효성 검증 방법 및 필요한 이행 타스크를 식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