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패턴: 비즈니스 오퍼레이션 정의
이 활동은 비즈니스 (서브)시스템이 제공하는 오퍼레이션 정의를 중심으로 작업을 다룹니다.
설명작업분류 체계(WBS)팀 할당중간 산출물 사용법
목적

이 활동의 목적은 각 서브시스템에 대해 기본 오퍼레이션 세트를 식별하고, 이를 인터페이스로 그룹화하며 다음 레벨의 서브시스템이 지원하는 오퍼레이션 측면에서 실현(realization)을 순환적으로 정의하는 것입니다.

관계
설명

이 활동은 선택한 아키텍처 시점 및 보기 위주로 여러 측면에서 비즈니스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분해하는 하향식 접근 방식을 설명합니다(유스 케이스 하향 전달(Flowdown)보충 요구사항 하향 전달(Flowdown) 개념 참조).

대부분의 경우 시작점이 최상위 레벨 비즈니스 유스 케이스이긴 하지만 이는 전제조건은 아닙니다. 모델링 팀에서 유스 케이스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최상위 레벨 비즈니스 시스템에 대한 오퍼레이션을 정의할 수 있는 한 이 오퍼레이션 기반의 접근 방식을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퍼레이션만 정의된 비즈니스 서브시스템에 대해 이 활동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해당됩니다.

이 접근 방식의 두 가지 다른 기본 특성이 있습니다. 하나는 비즈니스 (서브)시스템에서 두 개의 Perspective(블랙 박스와 화이트 박스)를 중심으로 수행되는 방법입니다. 블랙 박스 관점으로 시작하고 외부적으로 볼 수 있는 시스템의 특성을 대개 오퍼레이션 측면에서 정의하십시오. 그런 다음, 블랙 박스를 열고 해당 요소를 정의하거나 식별하고, 요소의 오퍼레이션이 각 시스템 오퍼레이션을 실현하는 방법을 설명하십시오. 이 접근 방식의 두 번째 특성은 순환적이라는 사실입니다. 동일한 일반 메소드를 보다 하위의 보다 자세한 레벨에서 세분화된 서브시스템에 적용합니다.

이 활동을 통한 간소한 워크플로우는 아래 표시되어 있습니다.

특성
이벤트로 구동됨
다중 발생
진행 중임
선택사항
계획됨Yes
반복 가능함
인력 구성

비즈니스 설계자 및/또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가의 역할을 하는 인원은 강력한 모델링 및 작성 스킬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비즈니스 지식이 유용하긴 하지만, 도메인 전문가를 검토자로 참여시키면 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려면 현재 조직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세트를 기능적 관점과 지원 관점 모두에서 잘 알고 있는 인원이 필요합니다.

핵심 고려사항

모델링 산출물의 엄격함과 정밀도를 증대시켜야 하는 경우 이 활동을 수행하십시오. 이 활동은 대개 현황(as-is) 비즈니스 또는 목표(to-be) 비즈니스를 정의하는 모든 측면을 다룰 대규모 활동의 빌딩 블록 파트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