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라인: 구현 서브시스템
구현 서브시스템은 구현 모델을 구성하고 해당 복잡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구현 서브시스템을 디자인하는 경우 고려할 일부 옵션을 논의합니다.
관계
관련 요소
기본 설명

설명

수백 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현 모델에서 복잡도를 줄이는 기본적인 방법은 구현 서브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서브시스템은 추가 구조 또는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양식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서브시스템은 파일 시스템에서 디렉토리 또는 폴더로, Ada 또는 C++용 Rational Apex에서는 서브시스템으로 또는 Java를 사용하는 패키지로 작성될 수 있습니다. Rational XDE 개발 시 서브시스템은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에서 "프로젝트"로 정의됩니다.

구현 서브시스템은 디자인 패키지또는 세분화되지 않은 디자인 서브시스템의 구현과 유사합니다. 구현 모델 및 구현 서브시스템은 구현 보기의 대상이며 개발 시 기본적으로 중요한 사항입니다.

요소 내보내기

구현 서브시스템은 해당 컨텐츠의 외부 가시성을 제어합니다. 선언 서브시스템에서 보이는(내보냄) 경우 서브시스템 외부의 요소에서 요소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서브시스템의 모든 요소(및 포함된 서브시스템)는 기본적으로 서브시스템 외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즉, 이 서브시스템 외부의 요소는 모든 요소를 참조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C++의 경우 외부의 요소는 서브시스템 내부의 모든 요소를 #include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구현 모델은 구현 모델에서 디자인 패키지를 구현 서브시스템에 맵핑하는 방법에 따라 디자인 모델에 다소 가까울 수 있습니다.

일 대 일로 맵핑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하나의 디자인 패키지를 하나의 맵핑된 구현에 맵핑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이유는 디자인에서 코드로의 연속적인 추적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구현 시 서브시스템이 디자인 시 서브시스템 및 패키지와 서로 달라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타스크: 구현 모델 구조를 참조하십시오. 이 맵핑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방법은 중간 산출물: 프로젝트 가이드라인에서 다룹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시스템을 서브시스템으로 파티션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에서의 기준이 구현에서도 적용됩니다. 자세한 정보는 가이드라인: 디자인 패키지를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