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사용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오퍼레이션 세트를 표시합니다. 서비스는 여러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규칙에 따르면 프로토콜 상태 머신 또는 UML 2.0 협업을 해당 스펙에 첨부하여 서비스 스펙에
대한 오퍼레이션 호출 순서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동작 스펙을 사용하는 경우 서비스 구현의 유효성은 해당 구조 및 동작의 정적, 동적 스펙에 따라 검증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의 사용으로 스펙에서 필요하고 공급된 기능 세트를 완전한 단위로서 직접 표시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스펙에서는 공용 기능만 제공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스펙에 특성을 포함하는 기능으로 자원 모델링이 가능합니다.
스펙에는 '상태' 특성이 있어서 SOA 방법에 공통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서비스 설명을 위한 독특한 라이프사이클의 특성). 프로파일에서는 아래의 목록대로 일람표가 공통값을 캡처하는 데 사용됩니다.
-
후보(기본값) -- 일부 식별 타스크에서 작성된 서비스 스펙을 표시하지만 공식적으로 허용되지는 않습니다. 적합성에는 특정 테스트(SOMA) 통과,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포트폴리오(RUP/SOA)와의
연계 등이 포함됩니다.
-
허용됨 -- 서비스가 후보 상태에서 허용됨으로 이동했음을 표시하며 서비스가 개발 예정이고 서비스 범위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
공개됨 -- 서비스가 즉시 범위 밖에 공개됨을 표시합니다. 이는 서비스가 재사용가능하고 특정 범위를 지정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공용 인터넷'으로 표시되지 않아야 합니다.
'소스' 특성으로 디자이너가 이 서비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 기술 또는 소스 도메인 종류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타스크: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타스크:
데이터 모델 분석, 타스크:
기존 자산 분석, 타스크:
비즈니스 규칙 분석 및 타스크:
비즈니스 유스 케이스 분석을 참조하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