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결과를 평가하여 구조적으로 중요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요구사항의 유효성에 대한 검사도 실행할 수 있는지 판별하십시오. 이 때 개발 시 요구사항은 여전히 변할 수 있으며 이해
당사자(stakeholder)가 반드시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아키텍처 개념 검증 평가를 통해 위험성이 높다고 표시된 요구사항을 완화할 기회가 있습니다. 결과를 평가할 때 이런 방법을
모두 철저히 탐색해야 합니다. 이는 나중의 정제(Elaboration) 및 구현/구축(Construction) 단계의 상황과 대조적인데, 이 단계에서는 요구사항을 변경하거나 재해석하기가 매우 꺼려집니다. 평가 후에
모든 이해 당사자가 범위와 실현 가능성을 보다 잘 이해하여 필요하면 비즈니스 사례, 비전 및 위험성 목록에 대한 변경 제안을 준비합니다.
이러한 관심 이외에 다음 질문에 대한 답변이 유용할 수도 있습니다.
-
프로토타입이 원래의 목적과 예상 스케줄에 비해 어느 정도 가깝습니까?
-
프로토타입 디자인이 아키텍처 기준선에 비해 어느 정도 가깝습니까?
-
프로젝트 위험성에 대한 새롭게 이해한 사항은 무엇입니까(프로토타입이 이런 위험성을 직접적으로 처리하는지 여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