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FileNet P8, 버전 5.2.1            

숫자 함수

이 절에는 부동 소수점 값 또는 정수 값에 적용되는 함수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표 1. 부동 소수점 또는 정수 값에 적용되는 함수 표
함수 기능
abs 숫자 함수의 절대값을 리턴합니다.
bitor, bitand, bitnot 비트의 부울 조작을 제공합니다.
convert 숫자를 다른 데이터 유형으로 변환하거나 다른 데이터 유형을 숫자로 변환합니다.
err_encode 세 부분으로 구성된 FileNet® P8 오류 튜플을 단일 부분으로 구성된 정수로 변환합니다.
int 소수점 뒤에 나오는 모든 수를 자르고 숫자 표현식의 정수 값을 리턴합니다.
max 지원되는 데이터 유형의 표현식 목록에서 최대값을 리턴합니다.
min 지원되는 데이터 유형의 표현식 목록에서 최소값을 리턴합니다.
mod 나누기(모듈러스) 후 나머지를 리턴합니다.
numbertostring 지정된 마스크를 사용하여 숫자 표현식을 문자열 표현식으로 변환합니다.
random 지정된 범위 내에서 임의의 정수를 리턴합니다.
sizeof 배열의 크기를 리턴합니다.

abs

이 함수는 정수식 또는 부동 소수점 표현식의 절대값을 리턴합니다. 다음 구문을 사용하십시오.
abs (num_expr)
여기서 num_exp는 결과가 정수 또는 부동 소수점 유형인 표현식입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abs (SalePrice - PurchasePrice)

bitand, bitor 및 bitnot

이러한 함수는 비트의 부울 조작을 제공합니다. 해당 함수를 사용하여 설정 마스킹 및 비트 추출과 같은 여러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각 함수는 동시에 최대 32개 항목에 대해 부울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C' 프로그래밍 언어에 익숙한 경우, bitand, bitor 및 bitnot은 각각 논리적 and(&), 논리적 or(|) 및 논리적 not(~)과 유사합니다. 'C'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가 2진 값이라고 생각하십시오(예를 들어, 123은 1111011임).

이러한 함수는 32비트 정수(즉, 0부터 42946967295까지)를 입력으로 사용하고 동일한 범위의 정수를 출력으로 리턴합니다. 다음 구문을 사용하십시오.
bitand (expr1, expr2)

bitor (expr1, expr2)

bitnot (expr)
여기서 expr1 및 expr2는 32비트의 정수입니다.
각 함수에 대한 고유 정보 및 예제는 아래 목록에서 주제를 선택하십시오.

bitand

bitand 함수는 두 정수에서 해당 비트를 "논리곱"합니다. 이는 비트 대 비트 비교이며 결과가 새 정수로 출력됩니다. 비교는 이 규칙을 따릅니다.
  • 두 정수에서 1이 동일한 위치에 있으면 결과 정수에도 이 위치에 1이 있습니다.
  • 두 정수에서 0이 동일한 위치에 있으면 결과 정수에도 이 위치에 0이 있습니다.
  • 동일한 위치에 한 정수에서는 1이 있고 다른 정수에서는 0이 있으면 결과 정수에서는 이 위치에 0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bitand (123, 240)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
bitand


     (00000000000000000000000001111011,
         

      00000000000000000000000011110000)
          

  results in: 
      00000000000000000000000001110000

bitor

bitor 함수는 두 정수에서 해당 비트를 "논리합"합니다. 이 비트 대 비트 비교의 결과는 새 정수로 출력됩니다. 비교는 이 규칙을 따릅니다.
  • 두 정수 중 하나에서 1이 동일한 위치에 있으면 결과 정수에도 이 위치에 1이 있습니다.
  • 두 정수에서 0이 동일한 위치에 있으면 결과 정수에도 이 위치에 0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bitor (123, 240)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
bitor
     (00000000000000000000000001111011,
         
      00000000000000000000000011110000)
          
  results in:


      00000000000000000000000011111011

bitnot

bitnot 함수는 정수를 "논리부정"합니다. 이 비트 대 비트 분석의 결과는 새 정수로 출력됩니다. 각 위치에서 새 정수는 반대의 비트 값을 포함합니다. 즉, 예를 들어, 입력 정수의 지정된 위치에 1이 있는 경우, 새 정수의 동일한 위치에는 0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bitnot (123)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
bitnot
              (00000000000000000000000001111011
  results in: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100

int

이 함수는 소수점 뒤의 모든 수를 잘라서 부동 소수점 표현식의 정수 값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부동 소수점 값 6.2 및 6.8은 정수 값 6으로 변환됩니다. 수의 부호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다음 구문을 사용하십시오.
int (num_expr)
여기서 num_expr은 결과가 부동 소수점 유형인 표현식입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int (365 / 7)

mod

이 함수는 나누기(모듈러스) 후 나머지를 리턴합니다. 값을 0으로 나누려고 하면 런타임 오류가 발생합니다.

다음 구문을 사용하십시오.
mod (num1, num2)
여기서 num1 및 num2는 부동 소수점 또는 정수 유형의 변수이고 음수 값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에서 함수는 NumberOfDays를 7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합니다.
mod (NumberOfDays, 7)
num2의 부호가 mod 함수 출력의 부호를 결정합니다(출력이 0이 아닌 경우).
If num2 > 0,

				0 <= mod (num1, num2) < num2

If num2 < 0,

				num2 < mod (num1, num2) <= 0

random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샘플링을 임의로 수행하는 수단으로 임의의 정수를 생성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함수는 지정된 범위 내에서 임의의 정수를 리턴합니다.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매개변수로 정수가 필요합니다.

다음 구문을 사용하십시오.
random (num)
여기서 num은 2 ~ 32768(양 끝 값 포함) 사이의 정수입니다. 범위는 0과 num - 1 사이입니다. 위의 예제에서 num이 23이면 임의의 정수는 0과 22 사이에 있습니다.

err_encode

이 함수는 세 파트로 된 FileNet P8 오류 튜플을 정수 값으로 변환하며 이 값을 WAL(WorkFlo Application Libraries) 입력점에 대한 호출에 의해 리턴되는 결과 코드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WAL은 정상 처리 중에 예외 조건이 발생할 때(예: 단순 데이터 처리에서 파일의 끝) 또는 오류가 발생할 때 결과 코드를 리턴합니다.

err_encode는 기본적으로 WAL을 호출하는 오퍼레이션에 의해 리턴되는 결과를 기반으로 작업 항목의 후속 처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오퍼레이션 뒤에는 브랜치 시스템 명령이 실행됩니다. 브랜치가 실행되면 작업 항목은 이전 오퍼레이션이 리턴한 결과 코드에 의해 결정된 처리 경로를 따릅니다. 예를 들어, <return code> = err_encode (80, 0, 2)이면 작업 항목이 하나의 처리 경로를 따르고 <return code> = err_encode (80, 0, 5)이면 작업 항목이 다른 처리 경로를 따름을 나타내는 err_code 함수를 브랜치 정의에 사용하십시오.

다음 구문을 사용하십시오.
err_encode (mod_num, func_num, err_num)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2. err_encode 함수의 매개변수 및 설명
매개변수 설명
mod_num 결과 코드의 첫 번째 파트입니다. 오류 소스인 서비스, 라이브러리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정수식(0-255 범위)입니다.
func_num 결과 코드의 두 번째 파트입니다. 오류가 발생한 함수 또는 모듈을 표시하거나 오류가 속한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정수식(0-255 범위)입니다.
err_num 결과 코드의 세 번째 파트입니다. 오류 번호를 표시하는 정수식(0-65535 범위)입니다.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2016년 3월
bpfe010.htm

© Copyright IBM Corp.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