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FileNet P8, 버전 5.2            

로케일 자원의 검색 우선순위

Workplace XT는 요청에 전달된 클라이언트 로케일을 기반으로 특성 자원 번들에서 UI 문자열을 검색합니다. Workplace XT XML 구성 파일에서 레이블 요소의 목적은 자원 번들에서 UI 문자열을 재정의하는 것입니다. 다음 XML 스니펫에 표시된 대로 이 요소를 사용하면 여러 로케일의 자원 문자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XML에서 다중 언어 문자열을 설정하는 기능을 사용하면 자원 번들에서 문자열을 수정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습니다.
<object key="searchOptionGroup">
 <label key="label" localizationKey="server.SimpleSearch_xml.useTheseSearchOptions">
 <resource>Use these search options:</resource>
 <resource locale="en_US">Use these search options:</resource>
 <resource locale="fr_FR">employez ces options pour faire une recherche:</resource>
 </label>
...
참고: Workplace XT는 XLIFF 파일을 사용하여 기존 자원 번들 파일을 기능 보강합니다. XLIFF 파일은 현지화된 사용자 작성 이름의 표시를 지원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은 "선호하는 로케일" 사용자 우선순위를 노출하고 브라우저 로케일을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여 올바른 언어 특정 XLIFF 파일이 로드될 수 있도록 하여 XLIFF 파일을 간접적으로 사용합니다. 사용 가능한 경우 현지화된 사용자 정의 이름 문자열은 Process Engine 서버에 의해 XLIFF 파일에서 검색되고 작업목록, 큐, 이정표, 단계, 워크플로우 및 다양한 기타 필드에서 사용됩니다. 반대로, 애플리케이션은 자원 번들 파일을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Process Engine은 직접 사용하지 않습니다.
요청에서 특정 클라이언트 로케일을 고려해 볼 때 애플리케이션은 자원 문자열을 찾기 위해 다음의 우선 순위를 사용합니다.
  1. 브라우저 로케일 헤더가 지정한 순서로 검색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은 일치하는 자원 번들을 찾으려고 시도합니다.

    헤더에서 하나 이상의 로케일에 대해 자원 번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은 또 다시 브라우저 로케일 헤더가 지정한 순서에 따라 XML에서 로케일 일치를 찾으려고 시도합니다. 일치가 없으면 애플리케이션은 로케일이 지정되지 않은 자원 요소에 설정된 영어 문자열로 기본적으로 설정됩니다. 위의 XML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검색 옵션 사용" 문자열을 사용합니다.

  2. 클라이언트 로케일에 대해 자원 번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은 XML에서 재정의 값을 검색합니다. 즉, 애플리케이션은 일치하는 locale 속성값이 있는 자원 요소를 검색합니다.

    일치가 발견되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은 자원 번들에서 레이블을 검색하기 위해 localizationKey 속성값을 사용합니다. 위의 XML을 고려해 봤을 때 클라이언트 로케일이 "es-us"(Spanish American)이면 애플리케이션은 Spanish American 자원 번들에서 레이블을 검색하기 위해 "server.SimpleSearch_xml.useTheseSearchOptions" 값을 사용합니다.

  3. 재정의 값이 XML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값을 사용합니다.

샘플 검색 시나리오 1

참고: 전체 다중 언어 지원에는 사용자의 모든 언어의 자원 번들이 필요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의 XML 로케일 지원에만 단독으로 의존하지는 마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의 UI가 여러 언어 문자열을 혼합하여 표시하게 됩니다.

샘플 검색 시나리오 2

샘플 검색 시나리오 3

샘플 검색 시나리오 4



피드백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2013년 3월
wpxt_config_files.htm

© Copyright IBM Corp. 2013.
이 Information Center는 Eclipse 기술로 구현됩니다. (http://www.eclipse.org 웹 사이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