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티티에 배치된 처리 보류항목을 제거하여 처리 스케줄 실행을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엔티티의 유지 유형을 확인하려면 엔티티를 찾아보고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하여 정보 가져오기를 선택한 후 유지를 클릭하십시오. IsDynamic 값이 거짓인 경우 유지는 수동 보류 항목이므로 수동으로 또는 명령행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값이 참이면 보류 항목은 보류 스윕으로 배치된 것이므로 보류 스윕을 실행하여 제거해야 합니다.
엔티티 또는 보류항목의 정보 페이지에서 수동 처리 보류항목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수동으로 보류항목을 제거할 수 없으면 보류항목이 보류 스윕으로 적용되었을 수 있습니다. 보류 스윕은 보류항목의 조건이 엔티티에 의해 충족된 경우 수동으로 적용된 보류항목을 인계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다음 절차를 사용하여 조건부 보류항목을 제거합니다.
보류 요청을 시작하고 보류 스윕을 실행하여 조건부 보류항목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사용률이 낮을 때 예정된 보류 스윕이 실행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보류항목이 다음 보류 스윕 실행에서 제거되도록 요청했으면 다음 보류 스윕이 실행되기 전에 이 요청을 취소할 수도 있습니다. 보류 스윕이 엔티티의 조건부 보류항목을 제거했으면 엔티티는 보류 스윕에 엔티티를 다시 보류에 배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플래그를 수신합니다. 엔티티를 다시 보류에 두지 않으려면 보류 처리를 위해 엔티티를 다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보류 요청 다시 활성화를 참조하십시오.
보류 제거 요청을 설정한 후 다음 보류 스윕이 실행되기 전에 이 요청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엔티티는 그대로 보류되거나 다시 보류에 배치됩니다.
보류 제거 요청 취소를 선택한 다음 보류 스윕을 실행하면 보류항목의 컨텍스트 메뉴에 보류 스윕 처리 활성화가 표시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다음 보류 스윕 시 처리될 보류항목이 설정됩니다. 또한 이것은 다음 보류 스윕 실행 시 조건부 보류항목에 다시 엔티티를 둘 수 있는 방법입니다.
구성 모드에서 보류항목 이름 및 GUID를 설정하는 대신, 한 명령에 모든 내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류항목을 제거할 때 이 방법은 보류항목이 활성이든 비활성이든 상관 없이 그리고 보류항목이 수동으로 또는 보류 스윕으로 적용되었는지에 상관 없이 적용됩니다. 명령에 다음 사항을 지정해야 합니다.
예:
Windows
RecordsManagerSweep.bat -HoldSweep -ObjectStore "FPOS Name" -ForceRemoveHold "Hold1|Hold2|{E4F6F8F9-4E1A-4762-B062-344980B2B92}"
Unix
./RecordsManagerSweep.sh -HoldSweep -ObjectStore "FPOS_name" -ForceRemoveHold "Hold1|Hold2|{E4F6F8F9-4E1A-4762-B062-344980B2B92}"
주의 또는 -All 옵션을 -ForceRemoveHold와 함께 사용하여 전체 오브젝트 저장소의 모든 보류 항목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활성 또는 비활성 여부와 상관 없이, 조건부인지 수동인지에 상관 없이 모든 보류항목을 제거합니다. 이것은 특수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RecordsManagerSweep.bat -HoldSweep -ObjectStore "FPOS Name" -ForceRemoveHold -All
빈 컨테이너에서 보류항목을 제거하면 보류항목의 조건 정보 페이지가 읽기 전용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이런 상황이 발생합니다.
위 경우 중 한 가지를 수행할 경우 보류항목은 보류 스윕 처리를 위해 비활성화됩니다. 보류항목의 컨텍스트 메뉴에서 보류 스윕 처리 활성화를 선택하여 보류항목을 활성화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