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페이지를 통해 로드된 테이블을 조회할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의 인터페이스에 있는 옵션을 지정하고 나면 결과 SQL 조회가 빌드되어 하단에 있는 텍스트 상자에 표시됩니다. 이 조회가 로드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내부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제출되는 조회입니다.
조회가 표시되는 텍스트 상자에서 바로 조회를 작성/편집할 수도 있으나, 올바른 차트가 리턴되려면 SQL 조회가 비어 있지 않은 두 가지 열(첫 번째는 문자열 값을 포함하는 열, 두 번째는 숫자 값만 포함하는 열)을 리턴해야 합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이 드릴 다운하는 데 필요한 조건을 인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직접 편집된 조회가 작성될 수도 있습니다.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하여 조회를 작성하면 항상 드릴 다운이 가능합니다.
위 이미지를 사용한 예로, 이 페이지는 사용자 ID가 결함 항목에 표시되는 빈도를 검색하고 이를 이름별로 그룹화하는 조회를 지정합니다. 이는 또한 'SYSTEM'이라는 사용자 ID를 필터링하며 100개보다 많은 결함 항목과 관련된 사용자만 나열합니다. 이들은 내림차순으로 나열되며 가장 큰 10개 빈도만 표시됩니다.
이들은 서로에 대해 도표로 작성되는 두 개의 데이터 계열입니다. 대부분의 결함 항목 데이터는 카테고리형이므로 일반적으로 여기에는 Y 계열에 대한 값 집계가 포함됩니다. Y 계열 지정 선택사항이 체크 표시된 경우에는 Y 계열을 편집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Y 계열은 X 계열의 빈도로 기본 설정됩니다(기본값은 false).
계열을 지정하려면 변경 단추를 눌러 다음 창을 여십시오.
이 창은 X 및 Y 계열 정의 변경을 위해 표시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집계 함수 및 고유 선택사항은 Y 계열 정의에 대해서만 사용됩니다.
컬럼이 드롭 다운 목록은 데이터를 가져올 컬럼을 지정합니다. 이러한 컬럼은 보고서 목록에서 사용 가능한 컬럼과 동일합니다.
집계 함수이 드롭 다운 목록은 위에 지정된 컬럼에서 검색된 데이터에 적용되는 집계 함수를 지정합니다. 집계 함수는 일반적으로 Y 계열 값에만 적용되며 데이터가 각 X 계열로 그룹화되는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이는 기본 설정임).
별명 사용이 선택사항은 이 계열의 별명 사용 여부를 지정합니다.
별명이 텍스트 상자는 해당 컬럼에서 사용할 별명을 지정하며, 이는 별명 사용 옵션이 선택된 경우에만 사용됩니다.
고유이 선택사항은 계열에서 고유하며 반복되지 않는 값만 가져와야 하는지 지정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Y 계열 값에만 적용되며 데이터가 각 X 계열로 그룹화되는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true로 기본 설정됨).
이는 그룹으로 집계되기 전(해당 옵션이 선택된 경우)에 로드된 보고서 목록 테이블의 각 행에 대해 테스트되는 조건 세트입니다. 추가 또는 편집 단추를 누르면 다음 창이 열립니다.
조건에 대해 값이 테스트될 컬럼입니다.
비교자조건에 사용될 논리 연산자로, 문자열 값은 '=', '!=' 또는 'LIKE'만 사용해야 합니다. 'LIKE'는 기본 SQL 패턴 비교에 사용되며 문자열 비교에는 '%', 단일 문자 비교에는 '_'를 사용합니다.
값지정된 컬럼 값이 비교자를 사용하여 테스트될 값입니다.
이는 집계 후 각 그룹화된 값에 대해 테스트되는 조건 세트입니다(예: 특정 카테고리의 빈도가 지정된 수보다 큰지 테스트). 이 조건 섹션은 X 계열로 그룹화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만 사용 가능합니다(기본적으로 true로 설정). 추가 또는 편집 단추를 누르면 다음 창이 열립니다.
이 창은 두 개의 추가 옵션을 제외하면 이전 개별 기록 조건 창과 유사하다는 점을 참고하십시오. 이 창에 지정되는 값은 오로지 숫자여야 합니다.
집계 함수이 드롭 다운 목록은 지정된 테스트 값과 비교할 값을 생성하기 위해 선택된 컬럼에 적용되는 집계 함수를 지정합니다. 계열 정의 창과 달리 사용자는 반드시 함수를 지정해야 합니다.
고유이 선택사항을 선택하면 집계 함수에서 반복되는 값 대신 그룹에서 고유한 값만 적용하기 위해 가져옵니다. 이 사용에 대한 예는 5명 이상의 고유 사용자가 실행한 Job만 표시하는 것입니다(COUNT(DISTINCT "USER_ID") >= 5).
Y 계열 값으로 결과를 정렬하려는 경우에 선택하십시오.
내림차순 정렬결과 정렬이 선택된 경우 이는 정렬 방향을 결정합니다(true로 기본 설정).
X 계열로 그룹화이 옵션은 각 X 계열에 관련된 데이터를 해당 값으로 레이블 지정된 고유 그룹으로 집계하며, 집계 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집계 조건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선택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true로 설정됩니다. Y 계열에서 숫자 값을 기록하며 Y 계열에 대해 집계 함수를 수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는 false로 설정됩니다(MD_PAGES 또는 DUPS 등).
결과 제한선택된 경우에는 차트에 표시되는 카테고리의 수를 제한하며, 가능한 여러 카테고리가 있고 표시되는 항목 수를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 유용합니다. 이는 페이지 하단의 작성되는 조회에 반영되지 않는 유일한 옵션이라는 점을 참고하십시오.
최상위 X개 결과 선택이는 위의 결과 제한 상자가 선택된 경우 차트에 표시되는 결과 수를 지정합니다.
여기에는 작성된 조회가 표시됩니다. 이 조회는 위에 설명된 옵션을 선택함에 따라 빌드됩니다.
조회 직접 편집이 상자를 선택하면 조회 상자에 직접 내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위에 지정된 인터페이스 옵션을 통해 내용을 변경하면 직접 조회를 변경한 내용이 겹쳐써진다는 점을 참고하십시오.
인터페이스 사용이 단추는 조회가 편집 중이지만 이 페이지의 인터페이스와 호환되지 않는 경우에만 사용으로 설정됩니다(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나머지 인터페이스는 모두 사용 안함으로 설정됨). 이 단추를 누르면 인터페이스가 다시 사용 가능해지지만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 조회가 완전히 겹쳐써지도록 노출됩니다.
조회 유효성 검증이 단추는 조회를 현재 양식으로 SQL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며, 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이 조회가 올바른 SQL 구문인지 판별합니다. 다음 또는 완료 단추를 눌러도 이 조작이 수행됩니다.
Eclipse의 Fault Analyzer 플러그인